Birdy
디지털 소외 계층을 위한 메신저 제품 디자인 연구
ORGANIZATION
UNIST
YEAR
2021 (1y)
ROLE
리드 연구원
CONTRIBUTION
70%
RESPONSIBILITIES
Research, Product Design, Prototyping, Project Management
WITH
김나눔, 윤혜정 (보조 연구원)
KEYWORDS
digital divide, assistive technology, Inclusive design, IoT
LINK
PROBLEM
——
디지털 메신저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소통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정보 공유가 가능하며, 다양한 미디어(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전송을 지원해 의사소통 방식을 확장해 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함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오히려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고령층, 저소득층,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 계층은 복잡한 화면 구성, 작은 버튼,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하는 메뉴 등으로 인해 메신저 사용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로 인해 가족, 사회와의 소통이 단절되거나 필수적인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소외 계층이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메신저의 사용 경험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이고 필수 기능 접근성을 높이는 메신저 디자인을 탐구하여, 보다 쉽고 효율적인 소통 경험을 제안합니다.
APPROACH
——
디지털 리터러시가 부족한 사용자가 메신저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우리는 스마트폰이 아닌 ‘버디’라는 매체를 디자인했습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각각의 특성을 반영한 매개체를 제공하면서, 하나의 메신저 서비스를 모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자 했습니다.
‘버디’는 메신저 앱과 스마트폰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여, 디지털 환경에 익숙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시스템과 버디의 디자인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했습니다.
유저 리서치: 디지털 리터러시가 부족한 사용자의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 리뷰, 과업 분석,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주요 장애물과 사용자 요구를 도출했습니다.
제품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제작: 리서치 결과를 바탕으로, 아날로그적 요소와 물리적 인터랙션을 통합한 디자인을 구체화하고, 초기 컨셉을 시각화하여 사용자의 실질적인 요구를 반영했습니다.
프로토타입 제작 및 테스트: 3개의 워킹 목업을 개발하고, 6쌍의 가족 사용자와 3주간의 필드 테스트를 통해 실제 환경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평가했습니다.
정량/정성 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 연구를 통해 수집된 정성 데이터와 정량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의 행동과 경험을 분석해, 버디의 효과를 평가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했습니다.
BIRDY : 손글씨 기반 디지털 메시징 디바이스
——
Birdy는 노년층이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탁상형 메시징 기기입니다. 종이와 펜을 활용한 손글씨 입력 방식을 제공하며, 디지털 메시지 전송 기능을 통해 세대 간 원활한 소통을 지원합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연결을 고려한 UX 설계를 통해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보다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인지적 부담을 줄이는 직관적 인터페이스 : Birdy는 디스플레이 크기, 버튼 배치, LED 피드백 등 노년층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설계 원칙을 적용했습니다. 메시지 전용 디스플레이를 사용해 정보 과부하를 방지하고, 단순하고 명확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반투명 아크릴 본체를 활용한 확산형 LED 조명 피드백을 통해 메시지 수신 및 전송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아날로그 감성을 유지한 손글씨 디지털 변환 : 사용자는 66mm 크기의 종이 카드에 손글씨로 메시지를 작성하고, Birdy를 통해 이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손글씨의 질감과 개성을 보존하면서도 디지털 메시징의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또한, 20개의 이모지 카드가 포함된 이모지 북을 활용해 감정을 보다 쉽게 표현할 수 있게하여, 익숙한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의 효율성을 결합한 설계를 적용했습니다.
간편한 조작과 자연스러운 사용 경험 : Birdy는 탐색용 물리 버튼과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수신된 메시지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크게 표시되며, LED 조명을 활용한 피드백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아날로그 환경에 익숙한 사용자도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원활한 메신저 사용을 지원합니다.
IMPLEMENTATATION
——
하드웨어 구성 및 물리적 인터랙션 : Birdy의 하드웨어는 디스플레이, 스캐너, 마이크로컨트롤러, LED 조명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품은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 최적화되었습니다. 사용자는 66mm 크기의 둥근 모서리 슬롯에 종이 카드를 삽입해 메시지를 전송하고, 물리적 버튼을 통해 대화 기록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종이, 펜, 이모지 북을 보관할 수 있는 통합 보관함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 보관함은 반투명 아크릴로 제작되며, LED 조명과 연동되어 다양한 색상의 알림을 통해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종이 삽입을 감지하는 IR 센서와 초소형 리니어 모터는 종이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내장된 광각 카메라와 링 모양의 LED는 좁고 어두운 환경에서도 선명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및 디지털 변환 : Birdy의 소프트웨어는 메시지 송수신, 이미지 처리, 디스플레이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처리하는 여러 모듈로 구성됩니다. Telegram 봇 API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OpenCV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이미지 처리와 후처리를 수행합니다. 특히 Google의 Teachable Machine을 활용하여 손글씨와 이모지 이미지를 인식하고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과정에서, 스캔된 이미지는 밝기와 선명도가 최적화되어, 원본 이미지와 함께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된 후 Birdy 화면에 표시됩니다.
제품 디자인 및 목업 제작 : Birdy의 디자인은 Autodesk Fusion 360을 활용하여 3D 모델링되었으며, 반복적인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최종 디자인을 완성했습니다. 초기 설계 단계에서는 각 부품의 정확한 치수와 조립 구조를 모델링하여 제작 효율성을 높였고, 주요 부품들은 3D 프린팅을 통해 정밀하게 제작되었습니다. 외관은 CNC 가공을 통해 고품질과 정밀도를 확보했으며,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모듈화된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REFLECTION
——
하드웨어 제품이 단순한 기기가 아닌, 감성을 연결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을까?
Birdy 프로젝트는 하드웨어 제품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모든 단계를 경험한 첫 사례였습니다. 제품 설계부터 프로토타이핑, 사용자 교육, 피드백 수집까지, IoT 기기의 안정성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는 도전이 있었습니다. 특히, 수차례의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펌웨어 최적화를 거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유기적 통합이 얼마나 중요한지 깊이 깨달았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순간은 3주간의 테스트 결과, 노년층 사용자들의 주당 평균 메시지 전송 수가 3배 증가했다는 것이었습니다. 손글씨와 비동기식 메시징 기능 덕분에 대화가 더욱 풍부해졌고, 참가자의 70%가 감정을 더 잘 표현할 수 있었다고 답했습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Birdy가 단순한 기기가 아닌, 사람들 간의 감정적 연결을 깊게 만들어주는 도구가 되었음을 실감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제품 설계의 전 과정을 경험하며,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중요성과 기술과 감성의 조화를 탐구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Birdy는 저의 UX 커리어에서 중요한 터닝 포인트였고, 기술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더욱 구체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